기술주 급락, 트럼프 관세 발표…미국 증시는 어디로?

반응형

2025년 2월 28일 오늘장 요약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은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기술주의 급락이 두드러지면서 시장 전체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추가 관세 발표까지 더해져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증시의 하락 원인과 그 여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앞으로의 투자 전략을 고민해 보겠습니다.

 

1. 미국 증시, 기술주 중심으로 급락

지난 거래일 미국 증시는 나스닥이 2.78% 하락(18,544.42), S&P500은 1.59% 하락(5,861.57),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0.45% 하락(43,235.00)**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반도체 및 반도체 장비 기업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 엔비디아(NVDA) -8.48%
  • TSMC -7%
  • 브로드컴(AVGO) -7%
  • 퀄컴(QCOM) -4.7%
  • 마이크론(MU) -6%
  • 인텔(INTC) -1.8%
  •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스(AMAT) -7%
  • 램리서치(LRCX) -5%
  • KLA Corp(KLAC) -5%

이러한 급락은 반도체 시장의 유동성 축소 및 트럼프의 관세 조치와 연관이 깊습니다.

 

2. 트럼프의 중국 추가 관세, 시장을 압박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하면서 시장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기존 10%의 관세에 추가 10%를 더해 최대 24.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 중국산 제품: 기존 10% → 20%~24.5% 관세 인상
  • 멕시코·캐나다: 25.5% 관세 강행
  • 달러 인덱스 0.8% 상승(17.27)
  • 일본 엔화 149엔 유지

중국의 대응은 아직 제한적이지만, 향후 미국산 자동차, 농산물, 보잉 항공기 및 반도체 등에 대한 보복관세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3. 금과 유가의 엇갈린 흐름

통상적으로 시장이 불안할 때 안전자산인 금값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번에는 예외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 금 가격: 1.58% 하락, 트로이온스당 $2,084.2
  • 국제 유가: 2% 상승, 배럴당 $70
  • 10년물 국채 금리: 4.273% (+2.4bp)

이는 달러 강세 영향과 경기 둔화에 따른 유동성 조정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4. 경제 지표 둔화와 기업 투자 감소

미국 경제 지표도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주간 신규 실업 청구 건수: 24만 2천 건 (+2만 건 증가)
  • 연속 청구 건수: 186만 2천 건
  • 4분기 GDP 성장률 수정치: 2.3% (속보치와 동일)
  • 기업 투자: -3% 감소
  • 설비 투자: -9.9% 감소

기업 투자 위축과 실업률 증가가 경기 둔화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5. 엔비디아, 실적 발표에도 불안한 주가 흐름

엔비디아는 최근 발표한 실적에서 매출 증가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진 둔화 우려로 주가가 8.48% 하락했습니다.

 

  • 1분기 예상 총이익률: 71% (기존보다 둔화)
  • 하반기 목표 총이익률: 75% 회복 전망
  • 블랙웰(Blackwell) 플랫폼 출시 지연, 하지만 문제 해결

월가는 긍정적인 평가를 유지하고 있으며, 번스타인은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35 상향 조정하며 장기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6. 앞으로의 투자 전략,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현재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 방어주 비중 확대: 월마트(WMT), 코카콜라(KO), 맥도날드(MCD), 스타벅스(SBUX) 등의 종목이 상대적으로 선방하고 있음.
  • 기술주 저점 매수 기회 탐색: 단기 조정이 이어지더라도 장기적으로 AI, 데이터센터 수요는 성장성이 기대됨.
  • 현금 비중 유지: 추가 하락 가능성 대비 현금 확보가 중요.

 

결론: 변동성 장세, 신중한 접근이 필수

 


이번 기술주 급락과 트럼프의 추가 관세 발표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흔들리기보다 장기적인 투자 전략을 고민해야 합니다.

향후 연준의 정책 변화와 무역 갈등의 흐름을 면밀히 주시하며, 시장의 방향성을 판단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변동성이 커지는 국면에서 현명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며, 방어적 자산과 성장주 간의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구성이 중요합니다.

 

2025.02.10 - [미국주식] -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테슬라(TSLA) 사업보고서 분석 1편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테슬라(TSLA) 사업보고서 분석 1편

해외주식에 항상 투자하지만 정보가 너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어를 잘한다면 아무래도 정보 검색이 수월할 수는 있지만 미국주식은 유료정보가 많고 일반인이 쉽게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

stock.edueasy.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