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증시 패닉: 기술주 급락과 트럼프의 관세 발언, 시장은 어디로?

반응형

[2025년 3월 4일 시황]

최근 미국 증시는 상당한 충격을 받으며 급락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한때 -3%까지 밀려났고, S&P 500 지수도 1.76%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키웠습니다. 이러한 하락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한 관세 발언과 함께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였습니다.

 


기술주, 무너지는 신화

이번 증시 하락의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것은 다름 아닌 기술주였습니다. 엔비디아(NVIDIA)는 무려 -8.69% 하락하며 시가총액이 대폭 줄어들었고, AI 및 반도체 산업에 대한 우려를 키웠습니다. TSMC 또한 -4.17% 떨어지며 글로벌 반도체 섹터 전반이 부진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이는 단순한 조정이 아니라, 고평가 논란과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이 맞물려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테슬라, 메타(구 페이스북) 등의 대형 기술 기업도 1~3%대 하락을 기록하며 기술주 전반이 힘을 잃었습니다. 최근 AI 테마주가 시장을 주도하면서 급등세를 보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 하락이 투자 심리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발언, 시장을 뒤흔들다

시장이 크게 출렁인 이유 중 하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TSMC 회장과의 기자회견에서 한 발언 때문이었습니다. 그는 "모든 준비가 끝났다. 관세는 내일부터 부과된다"라고 짧지만 강한 메시지를 남겼고, 이는 즉각적으로 시장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트럼프의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중국에 대한 기존 10%의 관세는 20%로 증가할 가능성이 크며,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25%의 높은 관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글로벌 공급망을 교란시키고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증가시켜 실적 악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 증가

이번 하락장에서 투자자들은 리스크 회피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금 가격은 트로이 온스당 2,911달러로 1.85% 상승하며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서의 역할을 다시 한 번 증명했습니다. 반면, 원유 가격은 하락했습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68.31달러로 2% 넘게 떨어지며 1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국채 시장에서도 변동성이 확대되었습니다. 미 10년물 국채 금리는 4.16%로 하락했으며, 이는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또한 변동성 지수(VIX) 역시 15% 이상 급등하며 투자 심리가 불안정한 상황임을 보여주었습니다.

 

암호화폐도 충격, 비트코인 -9.11% 폭락

주말 동안 상승했던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시장도 강한 조정을 받았습니다. 비트코인은 -9.11% 하락하며 86,000달러 선까지 밀렸고, 이더리움(-1%), 리플(-16%), 솔라나(-17%) 등 주요 알트코인들도 급락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위험자산 회피 심리와도 연결됩니다. 최근 암호화폐가 기관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 편입되면서 주식시장과의 상관관계가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워런 버핏의 경고: "관세는 전쟁 행위"

이번 시장 상황에 대해 워런 버핏 역시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그는 "관세는 사실상 전쟁 행위와 같다"라며, 이러한 조치가 결국 소비자 가격 인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 실제로 기업들은 비용 증가분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수 있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현금 보유량을 4,842억 달러(약 480조 원)까지 늘렸으며, 이는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방어적 전략을 강화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그는 애플과 뱅크 오브 아메리카 등의 일부 주식을 매도하며 리스크 관리에 나서고 있습니다.

 

제조업 회복 둔화와 경기 우려

미국 제조업 경기 둔화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 중 하나였습니다. ISM 제조업 PMI는 50.9에서 50.3으로 하락하며, 신규 주문이 6.5% 감소했습니다. 이는 미국 제조업 회복이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며, 추가적인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장은 어디로?

현재 시장은 여러 변수가 얽혀 있어 예측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투자자들이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 휘둘리기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전략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는 점입니다. 관세 이슈가 현실화될 경우 글로벌 무역 시장은 다시 한 번 큰 변화를 맞이할 것이고, 이는 개별 기업 실적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이번 급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점은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는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특히 AI 및 반도체 관련 주식들이 최근 급등했던 만큼, 단기 조정이 예상되었지만 예상보다 강한 매도세가 나타났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향후 대응 전략을 면밀히 검토해야 합니다.

 

결론:

현재 글로벌 증시는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기술주 중심으로 급락이 발생했습니다. 트럼프의 강경한 무역 정책과 경기 둔화 우려, 그리고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흘러갈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지만, 장기적인 시각에서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 전략이 필요할 시점입니다.

 

2025.03.01 - [미국주식] - 엔비디아·테슬라 반등, 트럼프의 강경 발언… 시장 향방은?

 

엔비디아·테슬라 반등, 트럼프의 강경 발언… 시장 향방은?

[3월 1일 해외 증시 리뷰] 최근 글로벌 증시는 변동성이 커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3월 1일 미국 증시는 반등세를 보였지만, 이를 단순한 기술적 반등으로 볼 것인지, 본격적

stock.edueasy.kr

2025.02.28 - [미국주식] - 기술주 급락, 트럼프 관세 발표…미국 증시는 어디로?

 

기술주 급락, 트럼프 관세 발표…미국 증시는 어디로?

2025년 2월 28일 오늘장 요약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은 극심한 변동성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기술주의 급락이 두드러지면서 시장 전체가 흔들리고 있습니

stock.edueasy.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