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테슬라(TSLA) 사업보고서 분석 2편

반응형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의 실적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매출과 이익만 보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어떤 회계 기준을 적용했는지에 따라 숫자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테슬라의 "중요 회계 방침 요약(Summary of Significant Accounting Policies)"을 포함한 사업보고서 분석을 진행하고, 투자자 입장에서 어떤 점을 주의 깊게 봐야 하는지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테슬라의 연결 재무제표: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테슬라는 연결 재무제표(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를 사용합니다. 쉽게 말해, 테슬라 본사뿐만 아니라 자회사 및 특정 투자 기업(VIE, Variable Interest Entity)도 포함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한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테슬라는 태양광 사업과 자동차 리스 프로그램에서 금융 파트너와 VIE(변동이익실체) 구조를 많이 활용합니다. 투자자는 단순히 테슬라 본사의 실적만 볼 것이 아니라, 이런 자회사가 테슬라의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예시:
테슬라가 태양광 패널을 설치한 고객들에게 할부 판매를 한다면, 실제로 태양광 패널은 고객이 아닌 금융 회사가 구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테슬라는 여전히 태양광 패널의 운영을 책임지기 때문에 회계상으로는 자산처럼 보일 수도 있고, 부채로 잡힐 수도 있습니다. 이런 회계 처리는 투자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죠.

2. 자동차 판매 vs. 리스 매출: 숫자의 함정을 조심하자

테슬라의 주요 매출원은 자동차 판매입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리스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자동차 판매와 리스 매출이 회계적으로 다르게 인식된다는 점입니다.

  • 자동차 판매: 차량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순간 수익으로 인식됩니다.
  • 리스 매출: 차량이 리스 기간 동안 고객에게 사용될 경우, 일정 기간에 걸쳐 나눠서 매출로 인식됩니다.

투자자가 주의해야 할 점:

예를 들어, 테슬라가 차량 판매보다 리스 계약을 늘리면 단기적으로는 매출이 적게 잡힐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꾸준한 현금 흐름을 창출하는 안정적인 수익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테슬라의 자동차 판매 수치만 볼 것이 아니라, 리스 매출의 증가 여부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테슬라의 숨겨진 수익원: 규제 크레딧(Automotive Regulatory Credits)

테슬라는 전기차를 판매하면서 탄소 배출권(규제 크레딧, Regulatory Credits)을 획득합니다. 이 크레딧은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예: 내연기관차를 많이 생산하는 회사)에 판매할 수 있으며, 2024년 기준으로 2.76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하지만 규제 크레딧 매출은 지속 가능한 수익원이 아닙니다. 정부 정책이 바뀌거나 전기차 보급률이 높아지면 크레딧의 수익성은 급격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규제 크레딧을 제외한 본업(자동차 및 에너지 매출)이 얼마나 탄탄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FSD(완전자율주행)와 이연수익: 아직 반영되지 않은 매출

테슬라는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패키지를 고객들에게 판매합니다. 하지만 회계적으로는 즉시 매출로 인식되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나누어 반영됩니다.

2024년 기준으로, 이연 수익(Deferred Revenue) 35.99억 달러가 존재합니다.

이는 앞으로 매출로 잡힐 금액이므로, 향후 실적 성장의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단순히 "이번 분기 테슬라가 얼마나 벌었나?"가 아니라, 미래에 얼마나 추가로 매출을 인식할 수 있는지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5. 테슬라의 사업보고서 분석이 투자 판단에 미치는 영향

테슬라는 기업 운영 방식이 독특하고, 이를 반영하는 회계 정책도 일반 제조업체와 다릅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단순한 재무제표 숫자만 볼 것이 아니라 숫자가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투자 시 고려할 핵심 포인트:

  1. 연결 재무제표: 자회사 및 VIE 구조가 실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2. 자동차 판매 vs. 리스: 단기 매출과 장기 매출의 차이 이해
  3. 규제 크레딧 매출: 지속 가능성이 낮은 일회성 수익 여부 확인
  4. FSD 이연수익: 미래 매출 성장 잠재력 분석

🚀 결론:

테슬라는 단순한 자동차 회사가 아니라, 에너지 사업과 소프트웨어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종합 테크 기업입니다. 따라서 숫자 뒤에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 여러분은 테슬라의 사업보고서 분석을 어떻게 해석하시나요?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함께보면 좋은 글▽▽

2025.02.10 - [미국주식] -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테슬라(TSLA) 사업보고서 분석 1편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테슬라(TSLA) 사업보고서 분석 1편

해외주식에 항상 투자하지만 정보가 너무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어를 잘한다면 아무래도 정보 검색이 수월할 수는 있지만 미국주식은 유료정보가 많고 일반인이 쉽게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

stock.edueasy.kr

 

 

반응형